Why I chose Jekyll?
13 May 2018 | ComparativeAnalysis이 글은 "lawfully.kr"의 "지킬(Jekyll)로 홈페이지/블로그 만들기"이라는 제목에 기고된 글입니다. 블로그에는 블로그를 시작하는데 왜 지킬을 선택했고 다른 블로그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스팅합니다.
Jekyll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이유
페이스북, 트위터, 미디엄, 브런치도 있는데 왜?? 글을 쓰고, 글과 멀티미디어로 관계맺기를 하는 것이 목표라면, 모두 아주 좋은 전략이다. 게다가 간편하고, 따로 배워야 하는 것도 없고, 따로 돈을 낼 필요도 없다. 위의 어플들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지만 나는 매 프로젝트때 마다 쌓이는 지식들이 자꾸 얽히고 섥혀서 정리가 필요하였고 쌓았던 개념들이 자꾸 더 쌓이면서 혼동스러워져 가는 느낌이 있었다. 필자는 그래서 이 블로그를 내가 필요로하는 다수의 블로그들을 읽어보고 비슷한 블로그를 포스팅해서 내 생각을 정리하고 이해할 수 없는 개념은 찾아서 이해한 개념 기반으로 실제로 코드 테스트를 해서 올려보는 식으로 해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블로그를 할거면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해서 간편하게 만들 수 있지 않느냐라고들 하는데 물론 블로그엔 많은 기능이 필요없다. 하지만 코드관리도 같이하고 내가 어떤 식으로 프로잭트를 진행했었는지를 구성했는지 내 생각을 녹이려면 자유롭게 UI를 꾸밀 수 있어야하는데 그런 점에서 직접 만드는게 나을 수 있겠다 싶었다. 더군다나 개인적으로 블로그는 취미로 하는 생활이고 누군가의 터치가 없이 내 취향대로 꾸밀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아직 네트워크 토폴로지라던가 동적 스크립트가 어느 정도까지 사용가능한지에 대해 아직 확인하지 못해서 정확하게 말씀은 못드릴거 같다.Wordpress
장점:
1. 누구나 쉬운 간편한 운영과 제작 2. 다양한 테마와 플러그인 3. 소셜 마케팅 SMO(Social Network Service) 4. 모바일 반응형 웹 디자인단점:
1. 커스터마이징의 어려움(PHP - 개인적으로 싫어함). 2. 한글 서체 적용 문제. 3. 워드프레스는 호스팅 비용이 비쌈. 4. 해외 문화의 기반으로 이루어짐. 5. 네이버에서 검색이 잘 되지 않음.Jekyll
장점:
1. Static(정적)웹사이트로 속도가 빠름. 2. 마크다운과 liquid가 아주 편리함. 3. 내 입맛대로 꾸미기가 가능. 4. github pages에서 공짜로 홈페이지를 만들 수 있음. 5. git, github등의 버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음. 6.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백업이 간단함.단점:
1. Dynamic(동적) 웹사이트에 비해 처음 접근하기 어렵움. 2. Markdown 문법에 익숙하지 않으면 글 작성이 어렵움. 3. 단독으로 댓글기능이나 분석등이 불가능함. Jekyll 단점은 솔직하게 단점이라고 못느끼겠다. 어려운건 처음이라 어려운거지 사용하다보면 금방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댓글기능과 분석기술 등은 아예 사용 불가능한게 아니기때문에 이게... 단점인가 싶다. 사이트란 홈페이지이다. 사이트 생성기란 홈페이지를 만드다는 것이다. 어떻게 만들까? 홈페이지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라는 언어, 링크가 있는 텍스트로 만들어진다. 요새는 여기에 더하여 자바스크립트와 css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옛날보다 복잡해졌지만, 옛날보다 훨씬 더 복잡한 것도 구현 가능하다. 이메일이나 채팅 서비스 페이지 같은 곳. 내지는 검색이나 소셜 네트워크 같은 곳. 내지는 온라인 편집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들, 내용이 항상 변화한다면, 굳이 매번 정적인 페이지를 만들어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이런 페이지는 동적 페이지를 만들어야만 한다. 블로그의 개인 페이지 같은 경우, 많이 변해야 하루에 한 번 내지는 두세번일 것이다. 많이 변해도 한 시간에 한 번 이상 변화하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동적 웹페이지를 사용할 시 시간과 비용을 따져 볼 때, 수지타산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한, 서버를 운용할 시, 독립형 호스팅 내지는 서버 호스팅을 통하여 아예 기계 자체를 통째로 빌려서 써야하는데 돈이 아주 많이 들고 서버 전체를 직접 관리해야 한다. 나같은 경우에도 하나의 서버 운용하는데 월당 10만원씩 들었고 클라우드 속 서버를 다루는 법 배우는데 시간과 직접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어 진절머리가 났다.지킬을 쓰려면 배워야하는게 많다.
1. html, css, 자바스크립트2. 루비, 루비젬스
3. 터미널에서 명령어 입력하기
4. 텍스트 편집기 사용하기
5. 마크다운, 리퀴드
6. 호스팅 및 클라우드 관련 명령어
직접 만들어보면서 위의 내용들을 공부한다고 생각하고 만들면 될거 같다. ps: 윈도우에서 잘 안되는데, 가장 큰 이유는 Ruby때문이라고한다.